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실태 및 리터러시 증진방안 연구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8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실태 및 리터러시 증진방안 연구
저자 이창호
공동저자 모상현, 배상률, 이세영
발행일 2024-12-31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6
3. 연구 추진체계10
Ⅱ. 이론적 배경
1. 기술발전과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13
2. AI 리터러시 개념 및 구성요소17
3. 청소년의 AI 활용실태24
4. 요약 및 시사점 29
Ⅲ. 해외사례분석
1. 미국35
2. 독일49
3. 일본70
4. 요약 및 시사점86
Ⅳ. 청소년 조사
1. 설문조사93
2. 면접조사150
3. 요약 및 시사점167
V. 전문가 조사
1. 조사개요173
2. 조사결과175
3. 요약 및 시사점182
VI. 정책제언
1. 주요 연구결과 및 정책적 함의 187
2. 정책 추진과제191
3. 정책추진 로드맵228
참고문헌235
부록251
1.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 실태조사 설문지 251
2. 표집방법 266
3. 청소년의 생성형 AI 리터러시 증진 및 AI 이용에 따른 안전·권리보호 정책방안마련을 위한 전문가조사 설문지281
초록
챗GPT를 포함한 생성형 AI가 청소년들에게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청소년들이 얼마나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생성형 AI가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 대규모 실증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설문조사, 면접조사, 해외사례연구, 전문가조사 등을 통해 청소년의 생성형 AI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의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이 생성형 AI와 관련한 교육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 내에서 교육적 가이드라인을 접해본 경우도 드물었다. 또한 챗GPT에 대한 활용도와 인식수준은 높게 나타났으나 달리나 소라 등 이미지나 영상기반의 AI에 대한 활용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생성형 AI 교육경험은 AI 리터러시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돼 청소년 시기부터 생성형 AI에 접근하여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모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정보격차는 AI 시대에도 여전히 나타나는 만큼 많은 청소년들이 골고루 AI를 활용할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AI 리터러시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으로 청소년의 AI 리터러시 함양, 생성형 AI 교육 표준지침 개발 및 적용, 교사의 AI 리터러시 증진, 청소년 딥페이크 예방 및 대응역량 강화, 생성형 AI의 청소년 권리침해 예방 및 보호를 위한 법제 마련, AI 기업의 사회참여 및 사회적 책임강화 등 총 6가지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