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발간자료실

제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Erasmus+ 모형 구축 방안 연구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14 조회수 9
첨부파일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Erasmus+ 모형 구축 방안 연구

저자 이윤주
공동저자 김형주, 오해섭, 박대승
발행일 2024-12-31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 추진체계8
 3. 연구내용10
 4. 연구방법13
 5. 기대효과18

Ⅱ. 유럽연합(EU)의 Erasmus+모델 소개 및 분석
 1. Erasmus+ 개요21
 2. 운영 구조25
 3. 프로그램 참여 범위와 비유럽권 국가 참여 방안34
 4. 프로그램 운영 사례39
 5. 요약 및 시사점46

Ⅲ. 국내·외 국제교류 프로그램 사례 현황 분석
 1. 중앙정부 국제교류 프로그램55
 2.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 프로그램 65
 3. 대학 국제교류 프로그램73
 4. 해외 국제교류 프로그램 (일본)88
 5. 요약 및 시사점96

Ⅳ. 청년의 국제교류에 관한 인식 및 정책요구 분석
 1. 설문조사103
 2. 초점집단면담조사(FGI)182
 3. 주요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205

Ⅴ. 한국형 Erasmus+모델 구축 및 정책제언
 1. 한국형 Erasmus+ 모델 도출 과정 및 정책 방향․목표 설정 215
 2. 한국형 Erasmus+ 설계 방향 및 목적219
 3. 한국형 Erasmus+모형 구성 및 운영방안220
 4. 한국형 Erasmus+의 청년정책 연계 운영 방안244
 5.한국형 Erasmus+ 실현을 위한 정책목표 및 방향257
 6. 한국형 Erasmus+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264

참고문헌281
부 록287



초록

  세계속의 한국. 청년 국제교류는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청년 국제교류는 대부분 대학을 중심으로 시행되어서 대학 소속이 없는 청년의 경우 국제교류 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대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살펴보더라도 해외 기관 및 시설방문, 역사․문화 유적지 답사 등 이벤트 성격의 일회성 활동으로 그치는 사례가 많았다. 또한 국제교류 특성 상 국가 관계 등 외부 변수가 많이 작용하여 지속적인 국제교류를 유지하기에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청년들의 활동 범위는 국내를 넘어서 국외로 확장되었고 자연스럽게 국제교류는 그 중요성이 점점 커져갔다.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듯 ‘제1차 청년기본계획’에서도 제시된 바와 같이 글로벌 이슈를 중심으로 하는 청년 주도의 국제교류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어 청년정책으로서도 국제교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편,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갑작스러운 등장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국제교류 활동이 위축되었다. 2024년 기준, 코로나19 상황이 전환됨에 따라 국제교류 및 해외진출 사업이 새롭게 재편되는 과정에서 청년정책으로서 국제교류는 청년 친화적인 형태의 모델로 전환될 준비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정책의 일환으로서 청년층의 국제교류와 해외진출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후, 청년층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 공정한 국제교류 기회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지속가능한 국제교류 시스템 설계, 청년 주도의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토대로 한국형 Erasmus+ 모델을 설계하고, 모델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추진 방향과 목표를 수립하고, 3대 정책과제와 6개의 세부실천과제를 선정하였다.
  한국형 Erasmus+ 모델의 비전은 ‘도전하는 청소년과 청년의 삶을 변화시키고, 이들이 공공외교의 실현 주체로서 주도적인 참여를 할 수 있는 국제교류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서 정책방향으로 도전하는 청소년과 청년이 꿈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 마련(격차해소), 촘촘하고 강한 네트워크망 구축(지속가능성), 청소년과 청년 개인의 삶 및 공공외교 주체로서 청년참여 확대(참여와 주도)로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정책과제는 1. 청소년, 청년친화적 국제교류 인프라 구축, 2. 지속가능한 국제교류 시스템 마련, 3. 청소년과 청년 주도의 참여형 국제교류 프로그램 마련이다.
  세부 실천과제로 1) 국제교류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 2) 청소년, 청년 국제교류센터 확장을 통한 유기적 국제교류의 장 마련, 3) 참여주체 간 신뢰강화를 위한 다층적 네트워크 설계 운영, 4) 청년 국제교류의 중장기 공동목표 수립 및 국내외 참여자 대상 멤버십 확보, 5) 생애주기를 반영한 정책으로서 청소년과 청년 주도의 국제교류 프로그램 설계 참여 기회 확대, 6) 공공외교 실현을 위한 청소년과 청년주도의 한국형 Erasmus+ 네트워크 구성 운영을 제시하였다.



- 출처 및 다운로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nypi.re.kr/brdrr/boardrrView.do?menu_nix=4o9771b7&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cont_idx=845&seltab_idx=0&edomweivg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