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발간자료실

제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청소년활동을 통한 환경 실천 지원방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14 조회수 10
첨부파일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청소년활동을 통한 환경 실천 지원방안

저자 황세영
공동저자 김정숙, 최정원, 이은주, 손윤희
발행일 2024-12-31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1) 문제 제기3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6
  3) 주요 용어의 활용7
 2.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7
  1) 청소년 환경 실천의 핵심 개념: 역량과 행위주체성7
  2) 시민 참여로서 청소년 환경 실천에 대한 논의12
  3) 시사점19
 3. 연구내용 및 방법20
  1) 청소년 환경 실천 관련 정책 현황20
  2) 청소년수련시설 환경 활동 운영실태21
  3) 청소년의 환경역량 및 교육·활동 참여 실태22
  4) 학교와 청소년수련시설의 환경교육․활동 경험23
  5) 청소년 환경 실천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24
  6) 기타 연구 방법26
 4. 연구추진체계27

Ⅱ. 청소년 환경 실천 관련 정책 및 수련시설 현황 분석
 1. 청소년 환경 실천 지원 관련 정책 현황31
  1) 분석 범위 및 초점31
  2) 청소년 환경교육․활동 관련 정책 기반31
  3) 학교 및 사회 환경교육 관련 주요 정책 및 사업 현황42
  4) 환경·탄소중립 실천 관련 주요 정책 및 사업 현황65
  5) 청소년활동 현황72
 2. 청소년수련시설의 환경 활동 운영 실태79
  1) 조사 방법 및 절차79
  2) 분석 결과83
 3. 소결97

Ⅲ. 청소년 환경역량 및 교육·활동 실태조사
 1. 조사 개요103
  1) 교육과정에 기초한 환경역량의 개념적, 조작적 정의의 필요성103
  2) 주제 영역별 설문 개요104
  3) 표본설계114
  4) 조사방법114
 2. 조사 결과115
  1) 분석 방법115
  2) 기초 분석115
  3) 심화 분석150
 3. 소결196

Ⅳ. 학교와 청소년수련시설에서의 환경교육·활동 경험 면담조사
 1. 조사 개요203
  1) 면담조사 참여자203
  2) 면담조사 내용205
  3) 면담조사 절차 및 분석 방법206
 2. 학교와 청소년시설에서의 환경교육․활동 경험207
  1) 학교에서의 환경교육․활동 경험207
  2) 청소년수련시설에서의 환경교육․활동 경험217
  3) 환경교육․활동을 위한 개선·발전 방안223
 3. 소결232

Ⅴ. 청소년 환경 실천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1. 연구 개요237
  1) 실행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37
  2) 실행연구의 초점 및 설계238
 2. 지역사회 환경교육 협력을 위한 전문학습공동체 운영240
  1) 전문학습공동체의 구성 및 운영 방법240
  2) 전문학습공동체 운영: 차이를 이해하고 공동의 작업으로 나아가기242
  3) 분석 결과245
 3. 청소년 환경 공론장 ‘2024 청소년 환경연대’ 운영257
  1) 공론장 설계 및 운영 과정257
  2) 분석 결과266
 4. 소결280
  1) 지역사회 환경교육 협력을 위한 청소년수련시설 지원방안280
  2) 청소년 환경 공론장 추진방안281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및 시사점285
  1) 연구 결과 종합 및 시사점 도출285
  2) 청소년정책에 갖는 함의: 환경 실천 지원을 통한 청소년정책 비전 실현288
 2. 정책제언290
  1) 정책 개발 및 의견수렴290
  2) 영역별 정책과제 및 세부과제291
  3) 정책과제별 세부 추진과제292
  4) 정책 추진 로드맵323

참고문헌327
부 록353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생태 위기 시대에 청소년의 다양한 환경 실천 노력을 지원하는 데 있어, 청소년의 역량 및 행위주체성 함양에 초점을 두고 청소년 주도적 활동에 대한 지원 정책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정책 분석 결과, 최근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교 및 사회환경교육 정책이 체계화되고 있으나, 환경부, 교육부의 예산삭감으로 중앙부처 차원의 추진 동력이 약해지고, 지역사회 청소년 지원사업에 대한 청소년수련시설의 접근성이 낮으며, 청소년의 정책 참여에 대한 법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지자체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 정책 거버넌스에 청소년 참여 지원이 미흡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과 청소년의 환경 역량 및 행위주체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46개 청소년수련시설 조사 결과 응답 기관 87.6%에서 환경 활동 사업을 운영했고(2023년 기준), 39%는 기관의 비전과 부합한다고 응답하여, 수련시설에서 환경 활동의 확산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15.3%는 환경 전담팀을 구성하고 있고 12.4%는 전담인력을, 7.8%는 환경교육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어, 환경교육 전문성을 갖춘 기관들이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다양한 청소년 주도의 활동과 학교 연계 사업의 활성화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 환경 역량 및 학교 안팎 환경교육·활동 실태 조사 결과, 초·중·고등학생 75.2%는 스스로를 생태시민으로 인지하고, 자신의 환경 실천 노력에 대한 효능감(평균 3.15점/4점 척도)이 비교적 높았다. 초등학생은 생태시민 정체성이 가장 높고, 중학생의 환경역량이 가장 낮으며, 고등학생은 환경 감수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등, 학교급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에서 강의(81.6%)와 영상 시청(79.6%) 경험 비율이 가장 높고, 토론, 체험학습, 동아리, 정책 제안 등 경험을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체감 만족도는 반대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요구와 실제 교육활동의 괴리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가정 및 주변 사람과 주도성 관련 요인이 환경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행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환경교육 협력의 구심점으로서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정립을 돕기 위한 운영안내서를 제작하고, 청소년 연대와 행위주체성 함양을 핵심 요소로 환경 공론장을 운영해 봄으로써 청소년 주도의 환경 공론장 운영 모델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 교육부, 여성가족부 등 중앙부처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 및 법령 개정, 학교 기반 맞춤형 환경교육 활성화, 청소년수련시설 기반 환경 활동 체계화 및 확산, 학교 안팎 연계 청소년 환경교육 지원체계 마련, 청소년 주도 환경 공론장 활성화 등, 5개 영역 23개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 출처 및 다운로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nypi.re.kr/brdrr/boardrrView.do?menu_nix=4o9771b7&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cont_idx=847&seltab_idx=0&edomweivg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