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2024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총괄보고서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16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2024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총괄보고서
저자 신동훈
공동저자 김희진, 이정민, 이용해, 장윤선
발행일 2024-12-31
목차
제1부 패널조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다문화청소년의 정의6
3. 연구추진체계9
4. 연구내용10
5. 연구방법16
6. 보고서 구성26
제2부 자료구축
Ⅱ. 조사개요 및 추진경과
1.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개요31
2. 2024년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문항 변경 관리39
Ⅲ. 패널조사 및 관리
1. 1기 패널조사 표본설계 및 조사내용87
2. 2기 패널조사 표본설계 및 조사내용 99
3. 패널조사 절차 및 방법112
4. 원패널 관리115
5. 정기통계품질진단126
제3부 자료분석
Ⅳ. 선행연구 및 정책분석: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정서 및 진로·진학
1. 다문화청소년 현황 및 전망133
2. 다문화청소년 심리정서 및 진로·진학 관련 선행연구143
3. 다문화청소년 지원 관련 법, 제도, 정책 현황145
4. 요약 및 시사점162
Ⅴ. 패널자료 분석: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정서와 진로·진학(2기 패널)
1. 분석개요167
2. 기초분석168
3.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준비 역량과 진로태도 결정성의 영향요인 탐색 및 비교211
Ⅵ. 심층면접(IDI & FGI):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정서 및 진로·진학 관련 경험 및 지원에 대한 질적 조사
1. 다문화청소년 대상 심층면접조사243
2. 다문화청소년 지원 정책 현장실무자 대상 초점집단면접조사(FGI): 진로설계프로그램과 학생맞춤통합지원을 중심으로324
3. 소결384
Ⅶ.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정서 안정 및 진로·진학 준비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제언
1. 제언 도출 방법399
2.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401
3. 정책제언(안)409
참고문헌421
부 록437
초록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한국 사회의 사회적 변동을 주도하는 주요 키워드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적 변동에 따라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근거에 기반한 정책을 추진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기능할 수 있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2024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를 이어서 수행하고, 성장실태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다문화청소년 정책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일환으로는 1기 패널(2011년 구축, 14차) 추적조사와 2기 패널(2019년 구축, 6차)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기존 축적한 패널자료에 대한 기초 및 심화분석과 다문화청소년 및 학부모와의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다문화청소년 관련 정책 운영담당자를 대상으로 정책사업의 진행내용과 성과, 애로사항 및 향후 발전방향 등을 주제로 각각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함으로써 현실성 있는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청소년은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에서도 중도입국가정 자녀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가 낮은 데다 진로불안감과 사회적 고립도가 높아 더욱 취약한 특성을 보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발달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으나, 실제로는 진로 탐색 과정의 개부분이 청소년에게 맡겨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피상적이고 막연한 접근으로 진로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어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을 정책적 대상으로 포괄할 수 있는 여러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지만,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드러났다. 특히 사업목적에 맞는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진로발달” 비전을 바탕으로 4가지 원칙(① 보편성과 특수성 고려, ② 다양한 주체에 대한 지원, ③ 단계적 접근, ④ 다차원적 지원)을 설정하고 총 5개의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세부과제는 다문화가족자녀 진로설계지원 체계화, 학생맞춤통합지원 확대, 진로 융합 콘텐츠 보급, 체계적 부모교육 지원, 학생정보 관리 방법 개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