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실태연구 :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14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실태연구 :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저자 김희진
공동저자 김경준, 박지수, 조혜영
발행일 2024-12-31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 내용6
3. 연구 방법7
4. 연구추진체계 12
Ⅱ. 연구의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에 대한 논의15
1)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정·학교 밖 청소년15
2)가정·학교 밖 청소년의 이중 취약성에 대한 논의18
2. 가정 밖·학교 밖 청소년 현황 및 특성23
1) 가정 밖 청소년 현황 및 특성23
2) 학교 밖 청소년 현황 및 특성30
3. 가정 밖·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현황과 함의36
1) 가정 밖 청소년 지원 정책36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50
3) 소결56
Ⅲ. 가정 밖 학생·학교 밖 청소년 설문조사 결과
1. 조사 개요63
1) 조사 대상63
2) 조사 방법65
2. 조사 내용68
1) 조사지 개발68
2) 설문조사 내용74
3. 분석 방법78
4. 분석 결과80
1) 기술분석 결과80
2) 심화분석 결과152
5. 소결167
Ⅳ.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대상 심층면접조사 결과
1. 조사개요175
2. 면접조사 내용177
3. 면접조사 방법180
1) 면접 진행 방법180
2) 연구 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181
4. 분석 방법182
5. 분석 결과186
6. 소결245
Ⅴ. 전문가 의견조사·현장실무자 FGI 결과
1. 전문가 의견조사253
1) 조사 개요253
2) 조사 내용254
3) 조사 및 분석 방법255
4) 분석 결과258
2. 현장실무자 면접조사: 초점집단인터뷰(FGI)277
1) 조사 개요277
2) 분석 결과280
3. 소결298
1) 전문가 의견조사298
2) 현장실무자 초점집단인터뷰(FGI)303
Ⅵ. 정책제언
1. 연구결과 요약307
2. 정책제언312
참고문헌333
부 록345
1. 기관담당자 조사 결과347
2. 가정 밖 학생·학교 밖 청소년 설문조사 조사지351
1) 가정 밖 학생 청소년 설문지(A유형)351
2) 가정·학교 밖 청소년 설문지(B유형)371
3. 전문가 의견조사지390
1) 1차 조사지390
2) 2차 조사지395
국문초록405
Abstract407
초록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에서 모두 벗어나 있음에 따라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체계에서 이탈된 청소년들에 주목하였다. 가정과 학교로부터 동시에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이중 취약 상황에서 청소년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성장하고 있는지, 또 어떠한 어려움과 애로사항이 있는지 등에 대한 본격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여러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먼저, 가정·학교 밖 청소년의 이중 취약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였고, 가정 밖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행정 통계 및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가정·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실증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전국의 청소년쉼터 및 청소년자립지원관의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들로부터 수집된 46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교 재학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위해 교차분석(Chi-squared test)과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정·학교 밖 청소년이 직면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예측하는 심화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더욱 심층적인 실태 파악을 위해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가정과 학교라는 주요 성장 체계로부터 모두 벗어나게 된 이유와 그 과정, 이에 따른 어려움과 지원 요구 등을 탐색하였다. 질적자료는 현상학적(phenomenological)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정 밖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분야 학계 및 현장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이슈와 현재 지원 내용 등을 파악하고, 지원 필요 내용과 정책과제 등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이외에도, 청소년쉼터,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현장실무자 11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가정 밖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설문조사와 면접조사, 전문가 의견조사 및 현장실무자 FGI 등의 조사 수행 과정과 내용(조사지 포함)에 대해서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 및 승인 절차를 거쳤다. 학계 및 현장전문가들과 전문가 자문회의 및 워크숍 등을 개최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연구 내용, 조사설계, 정책방안 도출 등 연구의 전 과정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의 발굴 및 지원체계 개선, 심리·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가정 밖 학생·학교 밖 청소년 개별 맞춤형 진로 지원, 다중 취약 고위기 가정 밖 청소년 지원 등 변화하는 환경 대응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