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실태연구 : 청소년 쉼터를 중심으로 - 기초분석보고서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12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실태연구 : 청소년 쉼터를 중심으로 - 기초분석보고서
저자 김희진
공동저자 박지수
발행일 2024-12-31
목차
I. 조사 개요
1. 조사 개요1
2. 조사 내용 3
3.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
Ⅱ. 통계표
1. 학교 및 학교 밖 경험13
2. 진로계획 및 준비43
3. 신체적·심리적 건강70
4. 아르바이트·취업90
5. 경제적 상황97
6. 지지/지원체계104
7. 가정 밖 경험138
부 록
1. 항목 무응답 현황173
2. 가정 밖 학생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지(A유형)178
3. 가정·학교 밖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지(B유형)198
초록
1. 본 기초분석보고서는 2024년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실태연구: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의 일환으로 청소년쉼터(일시/단기/중장기), 청소년자립지원관의 가정 밖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2. 조사 내용으로 가정 밖 경험을 포함하여, 학교와 관련된 여러 항목과 학교 밖 경험, 진로계획 및 준비, 신체적·심리적 건강, 아르바이트와 취업, 경제적 상황, 지지/지원체계 등의 영역에서 청소년들의 성장·발달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이 조사는 2024년 8~10월 중에 실시되었으며, 해당 조사 기간 내 전국의 청소년쉼터와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이용하고 있거나 이곳에서 생활하는 만 14~18세 청소년 463명을 대상으로 전문 조사기관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조사 방법은 청소년들의 자기기입식 조사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설문지는 부록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4. 본 보고서에는 조사 문항에 대해 학교 재학 여부, 학교 밖 경험 유무, 성별, 연령, 기관 유형, 경제적 수준, 가족 유형, 가정 밖 생활 기간, 가정 밖 생활 시작 연령, 일(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지역 규모,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이용 경험 등(배경 변인은 문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 따른 응답률과 평균값 등을 기준으로 기초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 모든 문항에서 모름/무응답은 제외하고 분석되었으며, 모름/무응답은 항목 무응답으로 부록에 일괄 제시하였음(일부 조사 항목에서 다수 무응답이 관찰됨에 따라 결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소수점 반올림, 복수응답 등으로 응답률의 전체 합계는 100%가 아닐 수 있음.
5. 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해석은 이 기초분석보고서와 함께 발간되는 「가정·학교 밖 이중 취약 청소년 실태연구: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