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정기간행물_한국청소년연구_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확인 연구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11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정기간행물_한국청소년연구_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확인 연구
저자 유창민
발행일 2024-11-30
내용
본 연구는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학생 삶의 만족도는 자기회귀효과가 있는지, 교사-학생 관계는 자기회귀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는 교차지연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2018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의 1차년도(2018년), 2차년도(2019년), 3차년도(2020년), 4차년도(2021년) 자료를 사용해서 총 2,607명으로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 각각의 자기회귀효과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때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경우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초등학교 4학년 때 교사-학생 관계가 좋을 경우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교사-학생 관계가 좋아졌다. 둘째,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학생 삶의 만족도가 교사-학생 관계’로 가는 경로와 ‘교사-학생 관계가 학생 삶의 만족도’로 가는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서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가 서로 유의미한 선순환적인 관계인 것을 확인했다. 즉,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며,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 사이의 선순환적 관계가 확인된 것은 교육과 학교복지 맥락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서로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이러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교육자, 정책 입안자, 그리고 학교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있어서 긍정적인 교육 환경을 마련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삶의 만족도와 교사-학생 관계의 선순환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과 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