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정기간행물_한국청소년연구_중도입국 청소년의 레인보우스쿨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토보이스 기법 활용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15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정기간행물_한국청소년연구_중도입국 청소년의 레인보우스쿨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토보이스 기법 활용
저자 조미형, 이성욱, 문예술, 김수현
발행일 2024-11-30
내용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 중에서 특히 이중 언어 및 이중 문화 등으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레인보우스쿨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이들의 한국 사회 초기 적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23년 레인보우스쿨에 참여한 중도입국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에 포토보이스를 총 4회기 진행하였다. 회기별 주제는 한국 생활, 레인보우스쿨에 대한 기대와 참여 경험, 레인보우스쿨 참여 전과 후 달라진 점, 진로와 꿈 등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외국인가정 및 국제결혼가정 자녀로 만 14세부터 18세, 입국한 지 1~2년 이내이며, 한국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는 않았다. 포토보이스에서 수집한 사진과 발표 내용을 토대로 이들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레인보우스쿨 프로그램의 목표인 ‘한국어 능력 향상’, ‘사회·심리적 적응’, ‘진로 교육’,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로 구분하여 목표별로 달성 정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레인보우스쿨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목표별 달성 정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본인의 한국어 실력이 늘었다고 하였다. 이들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어를 이해할 수 있지만 아직 의사소통이 원활한 수준은 아니었다. 둘째, 한국의 문화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친구들과 즐겁게 지냈다고 하였다, 여기에는 선생님들의 교육과 도움이 있어서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셋째, 진로교육을 통해 고국에서 접할 수 없었던 새로운 경험을 통해 진로를 탐색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진로교육은 진로발달을 지원하기엔 한계가 있어 보였다. 넷째, 한국 음식에 익숙해졌고 다양한 전통문화체험을 통해 한국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래서 이젠 한국 생활이 불편하지 않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의 초기 정착 지원 프로그램으로서 레인보우스쿨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 시간을 늘리고, 이들의 학습 능력 및 한국어 능력, 연령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