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정기간행물_한국청소년연구_학교폭력 피해로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12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정기간행물_한국청소년연구_학교폭력 피해로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저자 박지현
발행일 2024-11-30
내용
이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학교 밖 청소년의 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인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로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험 내용’, ‘학교폭력 피해로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험의 본질적 구조’라는 두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폭력을 경험하고 학교를 그만둔 학교 밖 청소년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학교 밖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학업중단 과정과 이후 생활 경험에서 60개의 의미단위로부터 17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됐다. 연구 결과로 나타난 5개의 주제는 ‘지옥을 벗어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발버둥치며 몸부림침’, ‘지옥같은 학교를 다녀보려 온 힘을 다해 버텨내봄’, ‘살아야겠다는 간절함으로 학교를 떠날 용기를 내봄’, ‘폭력을 벗어났지만 고통스런 과거의 상처와 아픔에 갇혀 살아감’, ‘아픔을 딛고 일어서 더 탄탄히 도약과 성장해 감’이었다. 학교폭력 피해로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생존을 위한 또 하나의 선택지’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를 겪은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과 이후 생활 경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처한 상황과 삶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 밖 청소년을 둘러싼 부모, 교사, 상담자, 지역사회의 역할과 개입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교 밖 청소년의 목소리를 통해 경험적 자료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